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단시간근로자 및 일시휴직자 등 불완전취업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국민들이 체감하는 고용상황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고용률(%) = 취업자 / 15세이상인구 × 100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연관검색어 : 고용보조지표, 실업률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018
직장인의 공부하는 경제
고용률은 노동가능한 인구인 15세 이상의 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고용률(%) = 취업자 / 15세이상인구 × 100
15세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경제활동 인구수 변동의 영향이 없음.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제로는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어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음.
Copyrightⓒ이서원. All rights reserved.
'직장인의 공부하는 경제 -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고통지수 (0) | 2020.07.18 |
---|---|
5. 고정금리 (0) | 2020.07.17 |
3. 경상수지 (0) | 2020.07.15 |
2.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0) | 2020.07.14 |
1. 가산금리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