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재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직장인의 재테크

(4)
3. 자유적금 이자계산 앞서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을 정리했었다. 그런데 적금 중에는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넣는 정기적금과 자유롭게 금액과 납기일을 정해서 넣는 자유적금이 있다. 자유적금의 이자계산은 정기적금의 이자계산과는 다르다. 납기일이 매번 다르고 납입금액이 매번 다르기 때문이다. 오늘은 자유적금 이자를 계산하는 원리를 정리해보겠다. 적금이자 계산도 동일하게, 납입금*기간*이율이다. 다음은 내가 가입한 자유적금 [3.2% (세전), 1년 가입] 예시이다. (실제로 7월까지 아래 표와 같이 납입 중이며, 다음 납입 계획도 동일하다.) 1월1일에 가입하고, 매월 1일에 납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세전 이자는 314,642원 이다. (납입금)*(기간)*(이율)이다. 그럼, 18,000,000원을 1년동안 매월 1,500,0..
2. 소소하지만 확실한 수익, 앱테크 현재 하고 있는 앱테크들 정리. 1. 헤이폴>OK 캐쉬백 적립 > 현금화 2. OK 캐쉬백 > 현금화 3. 패널파워 및 패널나우 > 자체 적립금 > 현금화 4. 라임 > 롯데L포인트 5. 롯데L포인트 6. 금모아 > 자체 적립금 > 금 매매시 사용 7. 하나멤버스 > 하나머니 > 현금화 8. 아모레퍼시픽몰 > 자체 적립금 9. GS나만의냉장고 > 출석체크로 간식 10. 올리브영 > CJ 포인트 11. H.Point > 자체 적립금 초기에는 여기에 15개 정도 더 있었는데, 투입 시간 대비 소득이 너무 적거나, 혜택이 없어진 앱테크들을 제외시켰더니 꾸준히 하는 것들은 11정도로 추려졌다. 시작한지 이제 6개월 정도 된 나도, 그동안 몇 십만원 포인트를 모았다. 그 전에 시작한 분들은 앱테크로 한달에 고정적..
1. 예금과 적금의 구분 내 소비패턴을 파악하고 저축이 어느정도 몸에 배었다 싶으면, 예금과 적금을 구분해서 적용하면 좋다. 나 역시 예금 이율과 적금 이율의 차이를 알지 못해서 이자에서 손해를 본 적이 있다. 쉽게 말해, 동일한 이율이라고 할 때, 예금 이자가 적금 이자보다 많다. 1) 예금 일 때, 총 금액 6백만원일때, 1년 1.9% 단리 이율로 계산, 이자는 96,444원 이다. *요새는 1금융권에서 1.9% 예금이율은 찾아볼 수 없지만 (네이버 이자계산기 사용) 2) 적금 일 때, 52,240 총 금액 6백만원 - 월 50만원씩 적금, 1년 1.9% 단리 이율로 계산, 이자는 52,240원이다. *네이버 이자계산기 사용 대략 일년에 44,000원원의 이자 차이가 발생한다. 고로, 목돈이 있다면 예금으로 묶어놓고, 매월 ..
0. 재테크의 시작은 버는 돈, 쓰는 돈 알기 직장생활은 8년차지만, 처음으로 재테크에 관심을 가진 것은 2019년 12월이었다. 그 전까지는 막연히 적금들고, 만기되면 예금돌리고, 다시 적금 들고 무한 반복이었다. *지금도 적금 > 예금 루트는 재테크의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얼마를 벌고, 얼마를 쓰는지 아는 것이야 말로 재테크의 시작같다. 19년 12월부터 수기 가계부를 쓰고 있는데, 반년이 넘은 지금 그 효과?는 굉장히 크다. 수기 가계부의 장점 1. 수입과 지출을 적으면서, 내가 돈을 많이, 자주쓰는 계정을 확인할 수 있다. 2. 얼마를 버는지 눈으로 보게되니 한달 예산을 세울때 편리하다. 3. 지출을 적으면서, 약간의 제어심이 생긴다. 4. 원단위 까지 일단 적기 때문에, "푼돈이 목돈된다"를 실감할 수 있다. 5. 적금 및 투자 계획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