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3)
5. 고정금리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고정금리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하며 변동금리란 일정 주기별로 시장 금리를 반영하여 약정금리가 변동하는 금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만기 1년, 약정금리는 4%의 고정금리라면 약정기간 1년 동안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해당 약정금리는 4%이다. 반면 만기 1년, 변동주기 3개월, 약정금리는 CD금리+0.5%(또는 50bp)의 변동금리라면 3개월에 한번씩 변동된 CD금리에 연동하여 약정금리가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CD금리가 최초 약정시 3.0%, 약정 3개월후 3.2%, 6개월후 3.5%, 9개월후 4.0%라면 약정금리는 최초 약정시 3.5%, 약정 3개월후 3.7%, 6개월후 4.0%, 9개월후 4.5%가 된다. 자금 차입자 입..
3. 자유적금 이자계산 앞서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을 정리했었다. 그런데 적금 중에는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넣는 정기적금과 자유롭게 금액과 납기일을 정해서 넣는 자유적금이 있다. 자유적금의 이자계산은 정기적금의 이자계산과는 다르다. 납기일이 매번 다르고 납입금액이 매번 다르기 때문이다. 오늘은 자유적금 이자를 계산하는 원리를 정리해보겠다. 적금이자 계산도 동일하게, 납입금*기간*이율이다. 다음은 내가 가입한 자유적금 [3.2% (세전), 1년 가입] 예시이다. (실제로 7월까지 아래 표와 같이 납입 중이며, 다음 납입 계획도 동일하다.) 1월1일에 가입하고, 매월 1일에 납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세전 이자는 314,642원 이다. (납입금)*(기간)*(이율)이다. 그럼, 18,000,000원을 1년동안 매월 1,500,0..
4. 고용률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편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고용률은 실업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용통계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즉, 고용통계에서 취업준비자와 구직단념자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실업자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이 늘어나면 실업률이 낮아질 수 있어 체감하는 실업률과 차이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간의 이동 등에 따른 경제활동인구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고용률도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
직장인에게 운동이란 - 출퇴근 포함 12시간 정도를 회사에 투입하는 직장인들에게 꾸준한 운동은 참으로 어렵고도 먼 얘기다. 그런데 젊은 때(통상 20대)는 버틸만하다가, 30대가 되면 체력과 면역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진다. 하루하루 죽음에 가까워진달까? 운동은 더이상 취미가 아니다. 생존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이다. 지친 직장인들이여, 건강을 잃으면 아무소용 없다. 운동하자. 하지만, "몸이 상할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회사를 나오는게 맞다. 지금 내가 그렇다." Copyrightⓒ이서원. All right reserved.
3. 경상수지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재화나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 즉 경상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를 말한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및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금융계정 구성항목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경제발전 및 정책변화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전망하는 데 널리 이용된다. 연관검색어 :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018 직장인의공부하는경제 재화, 서비스를 외국과 사고파는 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수지. 경상수지 구성: 상품수지 / 서비스수지 / 본원소득수지 / 이전소득수지 안정적인 성격을 지닌 거래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경제발전, 정책변화..
내가 돈을 그냥 받냐? 많은 직장인들이 회사를 참고 다닌다. "지금 코로나 때문에 불경기라 사람들도 안 뽑아." "에휴, 지금 어디 갈데도 없어." "그래도 다니던 데가 낫지." 어쩔 수 없이, 상황때문에 회사를 참고 다닌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사장이 나에게 월급을 그냥 주는가? 아니다. 내가 노동력을 제공하니까, 그만한 댓가(사장 입장에서 합당하다고 생각하는)를 지불하는 것이다. 내 시간과 에너지를 돈과 교환하는 것이다. 만약 사장이 생각하기에, 당신이 지불하는 월급만큼의 값어치를 못한다고 생각하면? 가차없이 내쫓을 것이다. 잔인하지만 그렇지 않은가? "직장인들은 이런 마인드가 필요하다. 내가 돈을 그냥 받냐?" Copyrightⓒ이서원. All right reserved.
2.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때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든다. 경기종합지수와 같이 선행・동행・후행지수로 작성되며,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낸다. 예컨대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
다다익노(多多益勞) 다다익선, 아니다. 다다익노 多多益勞 일을 하면 할수록, 일이 더 많아지는 직장생활의 매직. 얘 일도 내가 하고, 쟤 일도 내가 하고, 사장일도 내가 하고. 오늘도 소처럼 일하다 퇴근한 당신께,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건 월급뿐이라구요." Copyrightⓒ이서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