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대외의존도/수출입의존도/무역의존도
국민경제가 가계, 기업, 정부 이외에 국외부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되는 경제체제를 개방경제체제라고 한다. 대외의존도란 개방경제체제 하의 국민경제에서 국외부문과의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구체적으로 대외의존도는 국민소득에서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계산 된다. 이때 국민소득 지표로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국민총소득(GNI)을 이용하나 분석 목적에 따라 국내총생산(GDP)을 쓰기도 한다. 대외의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국외부문의 여건변화가 한 국가의 국민경제 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됨을 의미한다. 세계화 시대에서 경제의 대외의존도 확대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지나치게 높은 대외의존도는 궁극적으로 국민경제의 구조적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위험 또한 포함하고 있다.
연관검색어 :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소득(GNI)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018
직장인의 공부하는 경제
대외의존도란 국민경제에서 가계,기업, 정부 이외에 국외부문과의 거래가 차지하는 크기를 말함. 국민소득에서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
대외의존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국외부문의 변화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의미.
수출과 수입에 우리 국민경제가 의존하는 정도를 나타냄.
Copyrightⓒ이서원. All rights reserved.
'직장인의 공부하는 경제 - 금융문맹 탈출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더블딥 (0) | 2020.08.11 |
---|---|
22. 대체재 (0) | 2020.08.07 |
20.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 (0) | 2020.08.03 |
19. 낙수효과 (0) | 2020.08.02 |
18.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0) | 2020.07.30 |